본문 바로가기

-2편- 실업급여 지급액 쉽고 빠르게 계산하기

by _텐빌리_ 2023. 3. 12.
반응형


지난 글에서는 "내가 실업급여받을 조건이 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2023.03.09 - [근로복지] - 실업급여(1)지급대상 확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실업급여 지급액

구직급여 지급액 (19.10.1 이후 기준)
=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 x 소정급여일수 

 

럼 회사를 그만두기전 임금으로 하루 20만 원을 받았다면 60%인 12만 원을 받을 수 있는 걸까요? 아쉽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구직급여는 상한치와 하한치가 설정 되어있어 그 룰에 따라 지급을 받게 됩니다.  

 

이제 하루에 받을 구직급여액을 알았으니 소정급여일수만 알면 내가 받을 총 구직급여 지급액을 알 수 있습니다. 

소정급여일은 내가 몇 살 인지와 얼마나 일했는지를 알면 아래표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구직급여 소정급여일수>

TIP) 내가 얼마를 받는지 복잡하게 계산하기 싫고, 좀 더 정확한 계산결과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실업급여 모의계산 방법>

고용보험 홈페이지 ▶  고용보험 제도 ▶ 개인혜택 ▶ 구직급여액 모의계산

>>https://www.ei.go.kr/ei/eih/eg/pb/pbPersonBnef/retrievePb200Info.do<<

그럼 임의로 27세 / 근무기간 8개월 / 월급 2백만 원 기준으로 모의계산을 해보겠습니다.   

1년 미만으로 근무를 하였기 때문에 120일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으며 한 달 기준으로 1,847,040원을 지급받을 수 있겠습니다. 이상으로 실업급여 지급액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실업급여 신청방법이 궁금하다면 

2023.03.12 - [근로복지] - -3편- 실업급여 신청방법 제대로 알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