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펀드와 사모펀드 용어는 들어봤는데 뭐가 다른거지 라고 생각하는 분이 많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 공모펀드와 사모펀드에 대한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그 종류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펀드에 대한 이해
우선 펀드란 무엇일까요? 펀드란 원래는 자금이란 뜻을 가진 말입니다. 하지만 금융업계에서는 돈을 모아 투자하는 투자펀드 또는 투자신탁 등 금융상품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는 것이 일반화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증권회사를 통해 접할 수 있는 펀드는 엄밀히 말해서 투자신탁인 것입니다. 공모펀드와 사모펀드의 차이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우선 펀드와 투자신탁의 차이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공모펀드와 사모펀드의 차이점
공모형 펀드의 대표적인 상품이 바로 투자신탁입니다. 공모형 펀드는 증권사나 은행 등 금융기관을 통해 많은 투자자로부터 돈을 모으는데 반해 사모형 펀드는 비공개로 소수 투자자에 한정하여 돈을 모아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주로 부유층이나 기관투자가가 그 대상이 됩니다. 공모형 펀드에는 일반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법률상 규제가 있지만 사모형 펀드에는 법률에 의한 규제가 거의 없습니다. 전문 투자자를 상대로 하고 있어 하나의 사모펀드에서 모집할 수 있는 투자자는 기본적으로 49명 이하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운용의 자유도가 높고 리스크가 높은 운용이나 절대 수익을 요구하는 운용 등 투자자의 성향에 맞추어 다양한 운용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 사모형 펀드의 특징입니다. 사모형 펀드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최소 몇십억 이상의 자금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좀처럼 투자하기 어려운 점이 단점일 것입니다.
공모펀드의 종류 (투자신탁의 종류)
이제 공모펀드는 곧 투자신탁이고 우리는 이것을 통상적으로 펀드라 한다는 것을 이해하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투자신탁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신탁의 종류로는 크게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MMF, 부동산, ETF신탁 등이 있습니다. 다양한 투자신탁 상품을 한 번에 비교하고 투자 할 수 있는 투자신탁 선택과 투자방법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별도로 정리하였으니 다른 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주식형 투자신탁
주식형 펀드는 주식을 매수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입니다. 주식형 펀드는 주식 시장의 변동에 따라 수익이 변동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익률과 위험성이 높은 투자상품입니다.
☞채권형 투자신탁
채권형 펀드는 채권을 매수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입니다. 채권형 펀드는 주식형 펀드와 달리 안정적이면서도 예측 가능한 수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위험성이 낮은 투자상품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혼합형 투자신탁
혼합형 펀드는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여러 종류의 자산을 혼합하여 운용하는 펀드입니다. 혼합형 펀드는 주식형 펀드나 채권형 펀드와 달리 여러 종류의 자산을 포함하기 때문에 투자자의 투자목적과 위험감수능력에 따라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자산의 분산 효과로 인해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MMF 투자신탁
MMF(Money Market Fund) 펀드는 짧은 기간 동안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추구하기 위해 안전하고 유동성이 높은 자금 시장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MMF는 주로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하므로 가치 변동성이 적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ETF 투자신탁
ETF란 Exchange Traded Fund(상장지수펀드)의 약자로 다른 말로 인덱스 펀드라고 하기도 합니다. KOSPI200과 같이 시장을 대표하는 특정 지수를 따라가도록 설계되고 운용되는 펀드를 말합니다. 주식시장의 수익률을 따라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그런데 요즘은 이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도 있습니다. 정리하면 지수에 투자하는 펀드는 인덱스펀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게 거래소에 상장된 인덱스펀드는 ETF로 용어정리가 되겠습니다.
사모펀드의 종류
사모펀드(Private Placement fund)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반 펀드와는 달리 기관 투자자들만이 투자를 하거나 소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비공개 모집하기 때문에 일반 대중의 눈에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큰 규모의 자산을 관리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모펀드는 기관 투자자들이나 특정인의 자금을 모아 벤처 캐피탈, 경영참여, 부동산, 인프라 등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하는 펀드가 존재하지만 크게는 헤지펀드와 PEF로 나눕니다.
☞해지펀드(Hedge Fund)
헤지펀드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군에 대한 매매를 통해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기관입니다. 헤지펀드는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자본을 운용하며 금융 전문가들이 운용합니다. 헤지펀드는 일반적인 펀드와는 달리 매수와 매도의 비중을 조절하여 시장 상황에 따라서도 수익을 추구합니다. 예를 들어 시장이 상승하면 매수 비중을 높여 수익을 노리며 시장이 하락하면 매도 비중을 높여 위험을 줄입니다. 이를 통해 일정 수준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일반적인 주식투자보다 높은 수준의 수익을 추구합니다. 하지만 헤지펀드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며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높은 수준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헤지펀드는 일반적으로 기관 투자자들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 대중의 접근이 어렵습니다.
☞사모투자펀드 PEF (Private Equity Fund)
PEF는 기업 인수합병(M&A)을 통해 기업 경영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고 기업의 구조 개선, 비용 절감, 성장 전략 등을 추구하는 펀드입니다. 사모펀드는 대개는 주식을 매입하거나 대출 등의 자금 지원을 제공하여 목표 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하며 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최종적으로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사모펀드는 일반적으로 제한된 파트너십 형태로 조직되며 특정 투자 기간과 목표 수익률을 가지고 투자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사모펀드는 대개는 큰 규모의 투자금액과 장기적인 시각으로 투자를 수행하며 일반 투자자들에 비해 높은 수준의 위험성과 수익성을 가집니다.
☞액티비스트펀드 (Activist Fund)
액티비스트 펀드는 PEF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PEF는 일반적으로 기업 인수합병(M&A)을 통해 기업 경영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는 반면, 액티비스트 펀드는 주로 기업의 주식을 대량으로 매입하여 주주의 지위를 확보하고 그 지위를 이용해 기업의 경영 전략, 이사회 구성, 재무 정책 등에 대해 개선을 요구합니다. 액티비스트 펀드는 PEF와는 목적과 방법에서 차이가 있지만, 기업 경영에 대한 개선을 위한 펀드로서 PEF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F(Private Equity Fund)는 무엇일까? (0) | 2023.04.11 |
---|---|
효율적인 펀드찾기와 투자방법 (0) | 2023.04.07 |
디플레이션의 의미, 원인과 장단점 (0) | 2023.03.01 |
인플레이션의 의미, 장단점, 대책 (0) | 2023.02.28 |
헤지펀드는 무엇일까 (0) | 2023.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