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헤지펀드는 무엇일까

by _텐빌리_ 2023. 2. 24.
반응형

헤지펀드의 탄생

헤지는 장벽, 울타리란 뜻을 가지고 있으며 헤지펀드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 시장이 하락하고 있는 경우에도 위험을 피해 운용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헤지 펀드의 탄생은 1949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전 컬럼비아대 교수이자 사회학자였던 알프레드 윈슬로우 존스 씨가 고안해 설립한 펀드가 기원입니다. 윈슬로우 존스는 주식시장에서 수익을 추구하기 위해 자신만의 투자 전략을 개발했습니다. 그 전략은 일종의 "헤지"를 이용하여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위험을 줄이는 것이었습니다. 즉, 주식을 매수하는 것과 함께 그 주식의 가격이 하락할 경우를 대비하여 매도 옵션도 같이 사는 것입니다.

헤지펀드는 사모펀드 

펀드의 분류에 있어서 헤지펀드는 대개 전문적인 운용진이 관리하며 대부분이 사모펀드 형태로 분류되어 운영됩니다. 따라서 헤지펀드는 대개 일반 투자자 대상이 아니며 투자자의 소액 투자는 받지 않습니다. 또한 사모펀드의 특성상 일반 투자신탁(공모펀드)과 달리 운용에 대한 보고 의무가 없으며 운용 실태가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사모펀드로는 헤지펀드 외에도 경영참여형 PEF(Private Equity Fund)도 있습니다.

헤지펀드의 전략

헤지펀드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군에 대해 다양한 투자 전략을 사용합니다. 이 중 대표적인 전략을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 Long/Short Equity Strategy: 이 전략은 주식을 중심으로 한 전략으로,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에 매수 포지션을, 그 반대로 예상되는 종목에 대해 매도 포지션을 취해 이익을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 Global Macro Strategy: 이 전략은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요인 등의 글로벌 이슈를 분석하여 세계 경제의 흐름을 파악한 후, 그에 따라 투자 결정을 내리는 전략입니다.
  • Event-Driven Strategy: 이 전략은 기업의 경영에 변화가 발생하는 이벤트(회사 인수합병, 재정 구조조정, 주식 배당 등)에 대응하여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 Relative Value Strategy: 이 전략은 하나의 자산군 내에서의 가격차이를 이용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으로, 주로 채권이나 파생상품에 사용됩니다.
  • Multi-Strategy: 이 전략은 다양한 전략을 결합하여 수익과 위험을 분산하는 전략입니다. 

헤지펀드는 이러한 전략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자신들만의 전략을 개발하기도 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헤지펀드는 다양한 전략들을 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헤지펀드의 장점

투자신탁이나 주식투자 등의 투자 방법에 비해 헤지펀드는 위험을 회피할 수 있고 이율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운용은 전문가에게 맡기 때문에 투자에 쓸 시간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헤지펀드의 장점에 관해서 이야기하면 첫 번째는 자유로운 운용으로 리스크 회피할 수 있습니다. 공모형 펀드인 투자신탁은 계획서나 유가증권 보고서 등을 발행할 의무가 있는 등 행정 감시가 있어 운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한편 헤지펀드는 사모이기 때문에 행정에 의한 감시나 규제받지 않으며 자유롭게 운용 전략을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리스크를 회피합니다. 두 번째 헤지펀드의 대표적인 운용 방법으로 선물 거래가 있습니다. 선물 거래는 현시점에서 미래의 어느 날에 어떤 가격으로의 거래를 보증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금융상품을 5억에 팔기로 약속했다면 약속 날짜에 그 금융상품이 2억으로 하락했다면 3억의 이득을 보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선물 거래를 사용하면 시장이 하락하더라도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통상적인 거래와 선물 거래를 동시에 구사함으로써 시장이 상승하든 하락하든 운용 방법에 따라 이익을 내면서 리스크를 경감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 외에 비싸게 팔고 싸게 되사는 공매도, 통상의 매수와 공매도를 조합한 롱·쇼트 전략 등 다양한 운용 전략을 구사합니다. 세 번째는 높은 이율입니다. 헤지 펀드는 시세 하락 국면에서도 이익을 내기 위해 레버리지 등 운용이 잘 되면 이익이 커지는 한편 리스크도 높아지는 수법을 이용합니다. 이런 식으로 헤지펀드는 일반 투자신탁과 비교해 높은 수익률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헤지펀드의 단점

자산운용 전문가에게 투자를 맡길 수 있고 자유로운 운용으로 위험 헤지를 하면서 고리대금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헤지펀드의 장점입니다만 단점도 있습니다. 투자할 때는 단점을 이해해 두는 것도 중요합니다. 첫 번째 단점으로는 투명성이 낮다는 점입니다. 일반 투자신탁은 유가증권 보고서에서 내용이 공개되는 운용실태를 파악하기 쉽고 운용방침도 안내서로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헤지펀드는 운용에 대한 보고 의무가 없으며 운용 실태가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심지어 투자 대상이나 투자 비율을 알 수 없고 출자자도 알 수 없습니다. 이렇게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이유는 헤지펀드가 독자적인 투자전략에 따라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회사에 정보가 유출되어 계획대로 투자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을 우려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두 번째는 수수료의 이율이 높습니다. 헤지펀드의 수수료는 보통 이익에 대해 20% 정도의 성공 보수가 있습니다. 성공보수는 운용 성적에 대해 미리 정해진 비율을 곱한 것을 펀드매니저가 수입으로 받는 것으로 이익을 내면 낼수록 보수액도 높아지기 때문에 펀드매니저의 동기부여가 되는 것입니다. 셋째 파산 가능성이 있습니다. 헤지펀드는 운용 방법이 자유롭고 이익 추구를 위해 리스크가 높은 운용 방법을 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잘하면 큰 수익을 바랄 수 있지만 반대로 투자 원금이 크게 떨어질 수도 있고 최악의 경우 헤지펀드가 파산할 수도 있습니다. 과거에도 운용 초기에는 경이적인 운용 성적을 올리면서 외환위기로 인한 시장의 변동을 견디지 못해 파산한 사례도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