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주가의 개념
이론 주가는 기업의 재무 상황이나 실적 등의 다양한 정보와 예측을 바탕으로 한 기업가치에서 산출된 이론상의 주가입니다. 이론상의 주가를 실제 주가와 비교하여 실제 주가가 높으면 비교적 비싸고 낮으면 비교적 저렴하다고 합니다. 이론 주가를 구하는 계산 방법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딱 하나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기업가치에 대한 생각은 다양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계산에 의해 기업 전체의 가치를 산출하고 그것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누면 기업 가치에 근거한 주가, 소위 말하는 이론 주가를 구할 수 있습니다. 도출한 이론 주가와 시장에서의 주가를 비교하면 주식을 사고팔 때 판단 기준 중 하나로 삼을 수 있습니다. 또 M&A 등에 의한 합병 등을 고려한 주가, 우선주나 기타 파생상품 등의 시장가격에서 역산한 주가 등 특정 상황에서 계산되는 주가도 이론 주가라고 불립니다. M&A에서는 기업가치를 산출할 때 이 이론 주가를 참고합니다. 이론 주가를 구하는 계산식에는 기업의 가치를 재산 가치와 사업 가치로 분리하여 계산하고 최종적으로 합산하는 것이 있습니다. 재산 가치는 말 그대로 기업이 가진 재산의 가치입니다. 다만 거기에서 이자를 내야 하는 부채를 빼거나 일정한 할인율을 곱하거나 하는 등 조정을 실시합니다. 재무제표로 말하면 대차대조표에 실려 있는 자산을 합한 숫자를 사용합니다. 사업 가치란 회사가 운영하는 사업의 가치를 말합니다. 계산으로 사용하는 것은 기업이 사업을 통해서 장래 얻을 수 있을 이익이나 자유 현금 흐름 등이 해당합니다. 재무제표로 말하면 손익계산서나 현금흐름 계산서의 숫자를 사용합니다. 한편, 주가에는 시장에서의 주가라는 것도 있는데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으로 실제 매매될 때의 주가를 말합니다. 만약 투자자들이 모두 같은 방법으로 이론 주가를 산출하고 있다면 주가가 움직이지 않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되지 않습니다. 투자자의 예상은 사람마다 다르고 이론 주가 외의 다른 기준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투자자도 있습니다. 시장에서의 주가가 어떤 이론 주가와 아예 동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론 주가와 주가의 관계
일반적인 주가는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한편 이론 주가는 기업의 이익이나 자산과 같은 숫자를 계산식에 적용하여 산출합니다. 시장에서의 주가 결정 방법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투자자는 어떤 주식에 대해 몇 원으로 몇 주를 사고 싶거나 팔고 싶다는 주문을 내립니다. 시장에 모인 주문은 판이라고 불리는 표로 정리됩니다. 가격을 지정하지 않은 성행 주문이나 높은 매수가, 싼 매도가를 먼저 약정해 나가면 매매 주문의 균형이 잡혀 주가가 결정되는 구조입니다. 매매 주문의 균형이 잡힌 상태에서 사고 싶은 사람이 늘어나면 더 높은 주가의 매도 주문 주식을 사야 하고 주가는 상승합니다. 반대로 팔고 싶은 사람이 늘어나면 더 싼 매수 주문을 내는 상대에게 팔아야 하고 주가는 내려갑니다. 시장 참가자는 이론 주가를 기초로 매매하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금리나 국제 정세, 시장에서의 상승과 하락 정보를 보면서 매매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시장에서의 주가와 이론 주가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론 주가와 시장 주가가 일치하지 않을 때는 이론 주가가 시장 주가보다 몇 배로 높다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반대로 몇 배로 낮은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론 주가의 신뢰성이 높다면 비교적 저렴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몇 배 상승을 노릴 수 있는 성장주를 실적을 지켜보면서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론 주가와 시장에서의 주가가 일치하지 않을 때 투자 동기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론 주가와 시장에서의 주가가 일치한다면 현재 주가는 적정하고 투자해도 이익이 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론 주가의 사용법
강조하고 싶은 것은 실제 주가가 반드시 이론 주가에 근접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장부에서 산출한 이론 주가만을 참고하여 투자하는 것은 다소 위험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자신만의 이론 주가를 수립하였다면 소액으로 투자를 이어가며 실제 주가와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실제 주가와의 차이가 크다면 그 이유를 찾아보며 수정하고 보완해나가며 그 차이를 줄여나가야 할 것입니다. 자신이 만든 이론 주가에 확신이 생긴다면 경기 침체나 국제 정세 등의 이유로 주가가 크게 내려오더라도 흔들리지 않고 그 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활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론 주가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정의하였고, 이론 주가와 실제 주가와의 관계 그리고 이론 주가의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론 주가를 계산하는 방법과 장기간 성장주를 보유할 때 알아야 할 항목 등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드와 투자신탁의 차이점 그리고 펀드의 종류 (0) | 2023.02.23 |
---|---|
이론 주가 계산 방법 (0) | 2023.02.21 |
손익계산서 확인 및 수익성 관련 지표들 (ROE, ROA 등) (0) | 2023.02.21 |
재무제표 분석 및 재무 안정성 지표들 (자기자본비율, 유동 비율 등) (0) | 2023.02.21 |
저평가 주식 확인하는 방법 (0) | 2023.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