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EF(Private Equity Fund)는 무엇일까?

by _텐빌리_ 2023. 4. 11.
반응형

PEF(Private Equity Fund)를 한국어로 하면?

PEF는 Private Equity Fund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경영참여형사모펀드"라고 칭합니다. 하지만 경영참여형이란 표현을 쓰지않고 "사모펀드"라고 정의하고 있는 곳도 많습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PEF는 사모펀드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PEF를 사모펀드라고 한다면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사모펀드와 PEF의 의미

  • PEF(Private Equity Fund)란?

    PEF는 주로 기업 인수합병(M&A)이나 벤처 캐피탈 등의 투자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PEF는 대개 회사를 인수하고 나서 몇 년간 경영을 개선하고 그 이후에 다시 판매하여 수익을 추구합니다. 즉 기업의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수익을 만들어 내는 펀드입니다.

  • 사모펀드(Private Placement fund)란?

    흔히 증권사나 은행 등 금융기관을 통해 많은 투자자로부터 돈을 모아 투자하는 공모펀드와는 다르게 사모펀드는 소수의 고액 투자자로 부터 자금을 조달해 돈을 투자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사모펀드는 크게 헤지펀드(Hedge Fund), 경영참여형 PEF(Private Equity Fund)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사모펀드의 일종인 PEF(Private Equity Fund)를 사모펀드라고 부르게 된다면 오해가 생길 수 있어 PEF를 칭할 때는 경영참여형이란 말을 앞에 붙여 "경영참여형사모펀드"라고 칭하고 사모펀드는 Private Placement fund로 표현하고 것이 더 바람직해 보이며 그렇게 정의하는 곳도 많이 있습니다.

PEF(Private Equity Fund)의 전략

Private Equity Fund 전략은 일반적으로 기업을 인수하거나 경영권을 획득하여 기업의 경영과정을 개선하고 가치를 높이며 최종적으로 이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PEF의 전략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Buyout 전략

      Buyout 전략은 기업 인수(Mergers and Acquisitions)를 통해 기업 경영권을 획득하여 기업을 운영하는 것입니다. Buyout 전략은 일반적으로 큰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기업 경영권을 획득한 후 효율적인 경영방식을 도입하여 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이를 이용하여 자본을 회수합니다.

    2. Growth 전략

      Growth 전략은 성장 잠재력이 있는 기업에 투자하여 기업을 성장시키는 것입니다. 자금을 제공하고 경영 전략과 자본구조 등을 개선하여 기업을 성장시킵니다. 이후 기업을 이전에 비해 더 높은 가치로 판매하여 수익을 얻습니다.

    3. Distressed 전략

      Distressed 전략은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대한 투자입니다. PEF는 경영전략과 자본구조 등을 개선하여 기업을 회복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자본을 회수합니다. 이러한 전략은 PEF가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업을 운영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4.  

한국의 주요 PEF

출처 : 헤럴드경제

 

1997년 외환위기 직후 외환은행을 인수한 론스타 등 수백업에서 수조원의 이익을 낸 글로벌 펀드의 영향으로 PEF는 기업 사냥꾼의 이미지로 기억되고 있지만 경영위기에 처해 있는 기업에 자금을 조달하고 재무를 개선한다는 측면에서 순기능의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참고적으로 자본시장법 개정안으로 사모펀드의 출자자는 기관투자자로 한정하여 자금 모집을 하고 있어 일반 투자자는 참여가 쉽지 않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