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킹통장 이자 가장 높은 곳은? 9개 은행 예치금별 금리비교 (23.7월 조사)

by _텐빌리_ 2023. 7. 14.
반응형

하루만 보관해도 이자를 준다는 파킹통장. 어떤 은행의 통장을 개설할지 고민 중이라면 아래글을 참고해 주세요. 1금융권과 저축은행 9군데의 파킹통장 금리를 모두 비교해 보았습니다. 이왕 파킹통장을 만든다면 예금자 보호도 되면서 높은 이자를 주는 곳의 파킹통장을 개설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얼마를 보관하느냐에 따라 이자가 높은 곳도 달라지기 때문에 보관 금액대별로 나누어 이자를 정리하였습니다.

파킹통장이란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면서 하루만 보관해두면 예금처럼 이자가 나오는 통장입니다. 하지만 정기예금처럼 별도로 가입하거나 해지할 필요 없이 목돈을 보관하며 필요할 때 언제나 빼서 쓸 수 있습니다. 

예금자보호가 되나요?

아래에서 소개하는 파킹통장은 저축은행, 1금융권 은행 모두 5천만원 까지 예금자 보호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가능한 이자를 많이 주는 곳에서 파킹통장을 만드는 것이 유리하며 보관 금액이 5천만원이 넘는다면 파킹통장을 2개 이상 만들어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상품 홈페이지에 아래 그림과 같이 예금자 보호안내 그림이나 문구가 있으니 직접 눈으로 확인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은행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예금자보호안내 그림과 문구

파킹통장 이자와 예치금

파킹통자 이자는 변동금리이기 때문에 시중금리가 변동이 되면 파킹통장의 이자도 함께 바뀌게 됩니다. 은행별로 이자가 상이하며 OK저축은행의 파킹통장의 경우 최대 5%의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 깊게 확인이 필요한 점은 백만원까지는 5%, 백만원~5백만원까지는 4.5%, 5백~2천까지는 3%와 같이 예치금이 늘어나면 금리는 줄어드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나의 예치금이 커질 경우 총예치금의 평균이자를 계산해 보야야 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금리가 가장 높은 파킹통장은 어떤 은행인지 예치금액 별로 정리를 하였습니다. 

파킹통장 이자 높은 은행 순서

5천만원 보관 시 이자가 가장 높은 곳은?

 

 

(2023년 7월 13일 기준)

순위 은행 및 상품명 금리 하루이자(세전)
1 농협저축은행
FIC ONE 보통예금
3.8%(우대금리적용)
1억초과시 0.2%
5205원
2 SBI저축은행
사이다뱅크 
3.5%
1억초과시 0.2%
4794원
3 JT친애저축은행
비대면플러스입출금통장
3.3%
3억초과시 0.1%
4520원
4 OK저축은행 
OK읏백만통장
2.78% (우대금리적용)
백만원 이하 5.0%
5백만원 이하 3.5%
2천만원 이하 3.0%
2천만원 초과 2.0%
3808원
5 OK저축은행
OK세컨드통장
2.7% (우대금리적용)
2천만원 이하 3.0%
2천만원 이상 2.5%
3699원
6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2.3% 
3억까지 2.3%
3150원
7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2.2%
1억까지 2.2%
3013원
8 토스뱅크 통장 2%
2739원
9 다올저축은행
Fi커넥트 통장
2.0% (우대금리적용)
천만원 이하 4.0%

천만원 초과 1.5%
2740원

5천만원을 통장에 보관하였을 때의 금리와 바로 다음날 받을 수 있는 하루치의 이자를 계산하였습니다. 모두 9개 은행의 파킹통장을 비교하였으며 상품명을 누르면 해당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OK저축은행의 경우 최대 5.0%의 금리를 받을 수 있지만 5천만원을 예치하게 되면 평균 2.78%의 금리가 적용되어 4번째로 이자가 높은 것으로 확인이 됩니다. 농협저축은행의 파킹통장이 가장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며 농협저축은행을 포함하여 일부 은행은 우대금리를 받기 위한 조건이 있습니다. 표에서 "우대금리적용"이라고 표기한 은행이 거기에 해당하며, 대부분 시중은행 오픈뱅킹에 계좌등록만 하면 우대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기 때문에 우대금리를 적용하여 순위를 따져보았습니다.

 

농협저축은행의 경우 우대조건이 조금 상이하며 글 가장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대조건이 없는 파킹통장중에서는 SBI저축은행이 가장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천만원 보관 시 이자가 가장 높은 곳은?

그럼, 천만원을 통장에 보관한다고 하였을 때, 가장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은행은 어디일까요?

(2023년 7월 13일 기준)

순위 은행 및 상품명 이자 하루이자(세전)
1 다올저축은행
Fi커넥트 통장
4.0%(우대금리적용)
천만원 이하 4.0%
천만원 초과 1.5%
1096원
2 농협저축은행
FIC ONE 보통예금
3.8%(우대금리적용)
1억초과시 0.2%
1041원
3 SBI저축은행
입출금통장
3.5%
1억초과시 0.2%
959원
4 JT친애저축은행
비대면플러스입출금통장
3.3%
3억초과시 0.1%
904원
5 OK저축은행 
OK읏백만통장
3.4%(우대금리적용)
백만원 이하 5.0%
5백만원 이하 3.5%
2천만원 이하 3.0%
2천만원 초과 2.0%
932원
6 OK저축은행
OK세컨드통장
2.7%(우대금리적용)
2천만원 이하 3.0%
2천만원 이상 2.5%
740원
7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2.3% 
3억까지 2.3%
630원
8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2.2%
1억까지 2.2%
603원
9 토스뱅크 통장 2%
548원

천만원을 통장에 보관한다고 하였을 때는 다올저축은행의 파킹통장이 가장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오천만원을 예치하였을 때는 9위에 랭크되었던 다올저축은행이 1위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천만원이 초과되면 금리가 4.0% → 1.5%로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천만원 이하의 돈을 보관하고 싶은 분은 다올저축은행의 파킹통장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예치금별 가장 이자가 높은 파킹통장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예치금액에 따라 가장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파킹통장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이 확인됩니다. 

 

▷ 1.2억~3억 예치 : JT친해저축은행 

▷ 천만원~1.2억 예치 : 농협저축은행

▷ 백만원~천만원 예치 : 다올저축은행

▷ 백만원이하 예치 : OK저축은행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예금자 보호는 5천만원까지 되기 때문에 예치금이 5천만원을 넘어간다면 통장을 2개 이상으로 나누어 보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은행별 금리 및 이자지급일 안내

① 농협저축은행 FIC ONE 보통예금

▶ 적용금리

  • 1억원 이하 : 3.0%
  • 1억원 초과 :  0.2% 

 우대금리 

  • 마케팅 동의 : 0.2%
  • 자동이체 출금실적 월 1건 이상 : 0.3%
  • 간편 결제(pay) 거래 실적 월 1건 이상 : 0.3%

 이자지급일

  • 매월 첫 영업일

② SBI저축은행 입출금통장 

 

 적용금리

  • 1억원 이하 : 3.5%
  • 1억원 초과 : 0.2%

 이자지급일

  • 매월 1일 입금

③ 다올저축은행 Fi커넥트 통장

 적용금리

  • 1천만원 이하 : 3.0%
  • 1천만원 초과 : 0.5%

 우대금리 

  • 시중은행 오픈뱅킹에 계좌등록 : 1%

 이자지급일 

  • 매월 넷째 주 월요일 

④ JT친애저축은행 비대면플러스입출금통장

 적용금리

  • 3억원 이하 : 3.3%
  • 3억원 초과 : 0.1%

 이자지급일 

  • 매월 넷째 주 월요일 

⑤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적용금리

  • 3억원원 이하 : 2.3%

 이자지급일 

  • 매일 (하루에 한 번) 

⑥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적용금리

  • 1억원 이하 :  2.2%

 이자지급일 

  • 매일 (하루에 한 번) 

 


⑦ 토스뱅크 통장

 적용금리

  • 2.0%

 이자지급일 

  • 매월 1일 혹은 지급요청 시 하루에 한 번

⑧ OK저축은행 OK세컨드통장 

 

 적용금리

  • 2천만원 이하 : 2.5%
  • 2천만원 초과 : 2.0%

 우대금리 

  • 시중은행 오픈뱅킹에 계좌등록 : 0.5%

 이자지급일 

  • 매월 넷째 주 월요일 

 


⑨ OK저축은행 OK읏백만통장

 적용금리

  • 백만원 이하 : 4.5%
  • 백만원 ~ 5백만원 이하 : 3.0%
  • 5백만원 ~ 2천만원 이하 : 2.5%
  • 2천만 원 초과 : 2.0%

 우대금리 

  • 시중은행 오픈뱅킹에 계좌등록 : 0.5%

 이자지급일 

  • 매월 넷째 주 월요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