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택담보대출 금리 3%대 은행은?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유리한 선택은?

by _텐빌리_ 2023. 6. 2.
반응형

주택담보대출의 하락세가 뚜렷해지고 가운데 3%대 금리로 대출이 가능한 상품이 나오기 시작하였습니다. 가장 저렴한 금리로 대출을 받은 수 있는 은행은 과연 어떤 은행일까요?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한번에 홈페이지에 방문하면 대출별 금리 비교가 가능하지만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안내되어 있는 수치가 은행의 수치와 상이합니다. 따라서 직접 각 은행의 주담대 금리를 조회하며 이번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또 은행명을 누르면 해당상품으로 연결되게 해 두었으니 주택담보대출을 계획하시는 분들께 많은 도움 되길 바랍니다. 

고정금리, 혼합금리, 변동금리

주담대를 확인하다보면 고정금리, 혼합금리, 변동금리 별로 금리가 상이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들의 차이점을 간단히 말씀드리면, 고정금리는 대출만기일까지 약속된 금리로 대출을 받는 것을 말하고, 변동금리는 시장금리 변동에 따라 6개월, 1년 등의 단위로 금리가 변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혼합금리는 고정+변동을 조합한 방식으로 대부분 5년간 금리가 고정되고 그 후는 시장금리에 따라 금리가 변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현재는 대출만기일까지 동일한 금리를 지불하는 고정금리 상품을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은행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고정금리는 혼합금리다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편의상 혼합금리 방식을 고정금리라고 칭하고 있는 은행들이 많이 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가장 저렴한 은행은?

(2023년 6월 2일 기준)

순위은행명고정금리(혼합금리)
1카카오뱅크3.677% ~ 6.306%
2KB국민은행3.86%~5.57%
3케이뱅크3.93%~4.97%
4NH농협은행(비대면)4.09% ~ 6.59%
5우리은행(비대면)4.16%~4.56%
6하나은행(비대면)4.204% ~ 4.804%
7신한은행4.42%~5.73%
8IBK기업은행4.442%~5.442%

5년간 금리가 고정되는 혼합금리(고정금리) 방식을 선택할 경우 카카오뱅크, KB국민은행, 케이뱅크가 3%대의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가장 저렴한 은행은?

 

(2023년 6월 2일 기준)

순위은행명변동금리
1카카오뱅크3.686% ~ 6.561%
2KB국민은행3.92%~5.32%
3케이뱅크3.94%~5.70%
4NH농협은행4.38% ~ 6.18%
5우리은행(비대면)4.42%~4.91%
6신한은행4.83%~6.13%
7하나은행(비대면)4.847% ~ 6.347%
8IBK기업은행6.207%~6.607%

변동금리 또한 카카오뱅크, KB국민은행, 케이뱅크 이 3개의 은행의 금리가 가장 저렴한 것으로 확인되며, 요 몇 달간의추세를 지켜보면 변동금리도 3%대의 대출상품이 늘어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어떤 것을 선택해야할까요?

금리의 상승기라고 판단이 된다면 고정금리를, 금리의 하락기라고 판단이 된다면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그럼 지금은 금리의 하락기일까요? 상승기일까요? 아래표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중 금리가 더 높은 쪽을 빨간색으로 표기해 보았습니다.

(2023년 6월 2일 기준)

은행명금리
카카오뱅크고정금리 3.677% ~ 6.306%
변동금리 3.686% ~ 6.561%
IBK기업은행고정금리 4.442%~5.442%
변동금리 6.207%~6.607%
KB국민은행고정금리 3.86%~5.57%
변동금리 3.92%~5.32%
케이뱅크고정금리 3.93%~4.97%
변동금리 3.94%~5.70%
우리은행(비대면)고정금리 4.16%~4.56%
변동금리 4.42%~4.91%
신한은행고정금리 4.42%~5.73%
변동금리 4.83%~6.13%
하나은행(비대면)고정금리 4.204% ~ 4.804%
변동금리 4.847% ~ 6.347%
NH농협은행(비대면)고정금리 4.09% ~ 6.59%
변동금리 4.38% ~ 6.18%

모든 은행의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까요? 통상적으로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은행에서 고정금리로 대출을 해주었다가 시장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그만큼의 손해를 은행에서 떠안아야 하므로 안전마진을 가지고 고정금리를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대부분의 은행이 고정금리를 변동금리보다 낮게 설정하는 데에는 앞으로 금리의 상승보다 하락 쪽에 더 무게를 싣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은 대출금액이 큰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금리 상승이 큰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금 높은 이자를 감안하더라도 일정한 금액을 내면서 안정적으로 예산관리를 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고정금리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정금리라 하더라도 30년간 고정이 아니라 5년 뒤에는 어짜피 변동금리로 바뀌는 것이고, 현재 금리가 하락하는 쪽으로 시장의 분위기가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는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는 의견이 더 지배적입니다. 이외에도 본인의 자산계획이나 대출기간, 상환방식 등을 잘 고려하시어 좋은 선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