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가 차트 보는 방법과 활용방법

by _텐빌리_ 2023. 2. 19.
반응형

주가 차는 보는 법

주가 차트는 일반적으로 주가의 변동을 나타내는 꺾임선 그래프와 거래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 이렇게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가와 거래량의 움직임에는 해당 종목에 대한 투자자들의 단기적인 심리상태가 반영되기 쉽다고 생각됩니다. 투자자의 심리가 지금 전체적으로 매수와 매도 중 어느 쪽으로 크게 기울어져 있는가를 그래프상에 나타나는 신호로 읽어 그것을 주식 매매 타이밍 판단에 활용하자는 것이 주가 차트 분석의 기본적인 생각입니다.

주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꺾임선 그래프는 가운데 네모난 몸통 부분이 있고 그 위아래에 촛불의 심지처럼 가는 선이 달린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도형 하나하나는 촛불처럼 보인다고 해서 캔들 차트라고 부릅니다. 도형 하나가 1일 주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일봉 차트나 도형 하나가 1주일 주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주봉 차트 등이 있습니다.

촛불에는 몸통 부분의 색이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2종류가 있으며 빨간색의 경우는 양봉이라고 부르며 아랫부분이 시초가를, 윗부분이 종가를 나타냅니다. 반대로 파란색의 경우는 위쪽이 시초가를, 아래쪽이 종가를 나타냅니다. 즉 빨간색 양봉은 시초가에서 종가에 걸쳐 주가가 상승했음을, 파란색 음봉은 시초가에서 종가에 걸쳐 주가가 하락했음을 각각 보여주는 것입니다. 양봉, 음봉 모두 몸통 부분에서 위로 뻗은 심지의 끝은 그날의 최고가를, 아래로 뻗은 심지의 끝은 최저가를 나타냅니다.

촛불 차트 활용법

주가와 거래량의 움직임에는 투자자의 심리 상태를 반영하여 나타나기 쉬운 패턴 같은 것이 몇 가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종목에서 주가가 보합세를 보이고 거래량도 적은 이른바 투자자들의 인기가 낮은 상태가 한동안 지속되었다고 칩시다. 그럴 때 갑자기 긴 촛불의 양봉이 나타나고 거래량도 급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 종목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과 강경한 기대감이 증가해 매수심리가 전체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가는 이후 상승 트렌드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이 패턴은 매수 타이밍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긴 촛불의 양봉이 거래량 급증을 동반하여 나타나는 패턴이라도 그것이 주가 상승이 계속된 후였을 경우에는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이런 경우에는 끝까지 관망하던 투자자들이 초조해 단숨에 매수에 나서 이른바 매수심리의 정점을 맞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주가는 그 후 하락으로 향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이 패턴은 매도 타이밍의 신호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양봉이라도 위 심지가 길거나 아래 심지가 긴 경우는 상승 중에 실망감이 작용하여 매수하는 투자자가 빠르게 줄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 아래 심지가 길게 내려와 있지만 양봉으로 끝난 망치형의 위 심지가 올라간 역 망치형의 경우는 하락하는 도중에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주가가 플러스로 마감된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락 추세에서 상승 추세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망치형과 같은 모양이지만 음봉일 경우는 교수형이라고 하며 주가가 상승으로 시작하였지만, 장중에 매도세가 유입되면서 주가가 마이너스로 마감된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수세가 들어온 망치형이라고 해서 다음날 무조건 상승하거나 매도세가 들어온 교수형이라고 해서 다음날 하락하거나 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나 봉 차트는 분명 매수세와 매도세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써 활용할 일이 많으므로 숙지 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동평균선 활용법 

주가 차트에는 이동평균선이라는 보조선 같은 것이 함께 그려져 있기도 합니다. 이동평균선은 일정 기간의 평균 주가를 연결한 것으로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이 있으며 예를 들어 25일 이동평균선이라면 그날을 포함해 과거 25영업일의 종가 평균을 수시로 묶어 간 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은 일일 주가 변동과 비교해 움직임이 완만해져 대략적인 주가 방향성을 가늠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위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매매 타이밍을 측정하는 기법도 자주 이용되고 있습니다. 상승하고 있는 이동평균선을 주가가 밑돌았을 경우나 상승하고 있는 이동평균선을 향해 주가가 하락했지만, 이동평균선을 밑돌지 않고 반등한 경우는 일반적으로 매수 신호가 됩니다. 둘 다 이동평균선이 보여주는 상승 트렌드가 지속 중임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으로 주가가 하락했음을 나타냅니다. 이런 경우에는 주가가 좀 더 떨어지면 사자고 생각했던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들어오고 주가가 오르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기회가 되는 것입니다.

하강하고 있는 이동평균선을 주가가 크게 밑돌 경우 역시 매수 신호입니다. 이동평균선은 투자자들에게 해당 종목을 사고파는 기준과 같은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이처럼 주가가 이동평균선에서 크게 벗어난 경우에는 주가가 이동평균선 부근까지 자율적으로 반등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상승하고 있는 이동평균선을 주가가 크게 웃돌 경우는 같은 이유로 매도 신호가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