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종목 선택에 있어서 4가지 주식투자 스타일 소개

by _텐빌리_ 2023. 2. 19.
반응형

 

일에 있어서든 운동에 있어서든 사람마다 각자의 스타일이 있습니다. 유로2004를 우승한 그리스는 단 한 번도 게임을 지배하지 못했다. 볼 점유율, 패스 성공률, 슈팅 총수 등 어디 하나 상대 팀에 앞선 게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그리스는 우승했습니다. 그 비결은 자물쇠 수비에 있었습니다. 그리스는 잔뜩 움츠러든 수비 중심 대형을 하다가 틈이 생기면 전광석화처럼 카운터펀치를 날렸습니다. 반면, 2008~2012년간 리그컵과 챔피언스리그 등에서 수많은 우승을 차지한 바르셀로나는 미드필더에서 삼각, 사각형의 대형을 유지하면서 숏패스나 롱패스를 이용하여 점유율을 가지고 오며 수비 대형을 무너뜨려 빈 곳을 만들어 공략합니다. 그리고 공이 상대방에게 빼앗기게 되면 강한 압박을 통해 공의 소유권을 다시 가져오는 전략을 썼습니다. 축구와 마찬가지로 주식 투자에도 스타일이 있습니다. 

주식투자 스타일이란 

투자 스타일이란 주식 투자를 하고자 할 때 어떤 기준으로 종목을 선택할 것인가를 물을 때 주로 사용되는 사고방식입니다. 즉 투자 스타일이란 주식 투자를 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부분에 위치하는 사고방식을 말합니다. 투자 스타일과 매우 유사한 분류 방법으로 투자 스탠스가 있습니다. 투자 스탠스란 하루에 여러 번 사고파는 단기투자냐 아니면 장기적으로 차분히 보유하는 장기 투자냐 하는 선택입니다. 투자 스탠스가 매매 기법에 관한 생각인 데 반해 투자 스타일은 어디까지나 종목을 고를 때의 기준에 관한 것으로 정의됩니다.

투자 스타일에 관한 내용은 'Matthew Seto'가 이용한 투자 스타일 분류 방법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Matthew Seto'는 1990년대 중반에 15살에 주식 투자를 시작해 16살에 천재의 이름을 날린 미국 소년 투자자입니다. 젊은 나이에 뮤추얼 펀드를 시작해, 그 운용 실적은 연간 34%에 달했습니다. 그 'Matthew Seto'가 자신의 투자 철학·투자 수법을 선보인 저서 '월가 천재 소년의 100가지 투자법칙' 중에는 투자 스타일을 다음 네 가지로 나누고 있습니다.

'Matthew Seto'가 말하는 4가지 주식 투자 스타일

(1) 성장주

이른바 성장주 투자를 말합니다. 한국이나 미국의 경기가 어떤 상황에 있었든 매우 경쟁력이 높아서 누구나 그것을 찾는 제품을 세상에 내놓는다면 그 기업은 경기 상황과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매출 성장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매출 성장이 계속되면 그에 따라 주가도 미래에는 오를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성장이란 매출액의 성장을 말합니다. 매출이 증가하면 이익 성장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90년대 PC가 세계적인 붐을 일으켰을 때 윈도우로 기본 소프트웨어 분야를 독점한 마이크로소프트와 CPU로 펜티엄을 개발한 인텔이 성장주의 대표적인 주식 종목입니다. 성장주를 찾아내는 것은 주식 투자를 성공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2) 기업 가치형

그 기업이 현재 가지고 있는 기업가치로 볼 때 저렴하다고 판단될 때 투자하는 스타일입니다. 벨류형 투자라고도 불리며 미국의 저명한 투자자 워런 버핏의 투자 스타일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여기서 비교적 저럼한지에 대한 판단 기준이 되는 기업 가치라고 하는 것에는 다양한 접근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순자산 금액에 비해 주식의 시가총액이 너무 낮다고 판단 되는 경우 입니다. 이른바 PBR(주가순자사배율)을 사용한 방법입니다. 배당수익률로 볼 때 현재 주가가 비교적 저렴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혹은 본업 부분에서 벌어들이는 현금을 보았을 때 저렴할 경우 기업이 보유한 토지나 건물, 특허권 등의 자산에 대해서 저렴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순환형(투자)
순환이란 경기 순환을 말합니다. 경기라는 것은 좋아지거나 나빠지거나 하는 것으로 언제까지나 좋거나 반대로 언제까지나 나쁘거나 하는 일은 없습니다. 항상 사이클을 가지고 순환적으로 움직입니다. 화학이나 철강, 비철 업계 등은 경기가 좋을 때는 매출이 늘지만 반대로 경기가 나빠지면 아무리 기업 스스로 노력해도 매출은 떨어집니다. 성장주가 경기와는 별개로 혼자 힘으로 매출을 늘릴 수 있지만 순환 주는 아무래도 경기 움직임에 매출이 좌우됩니다. 그렇다면 앞으로의 경기 예상만 세우면 그에 따라 매출이 움직이는 순환 주의 주가 움직임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경기변동을 기초로 주식투자를 하는 투자 스타일이 순환형 투자입니다. 또한 순환 주는 사이클 적으로 움직인다는 의미에서 cyclical 주라고도 불립니다.

(4) 재건형(투자)
경영에 실패한 기업, 파산할 것 같은 기업의 주가는 철저히 팔립니다. 그런 기업의 주식은 아무도 가지고 싶지 않기 때문에 한시라도 빨리 포기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투자자 모두가 다 팔아버리면 이번에는 헐값 같은 상태에 놓인 기업의 주가를 눈여겨보고 거기서 새로 투자하려고 하는 투자자들도 그중에는 존재합니다. 새로운 경영진을 보내 경영 살리기에 성공하면 주가는 크게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헐값에 방치된 것 같은 부실기업을 눈여겨보고 그 기업이 부활을 이루기 전후를 파악해 투자하는 스타일이 재건형이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이상이 천재 투자자 'Matthew Seto'가 내세우는 4가지 투자 스타일입니다. 저서에서 'Matthew Seto'는 자신의 투자 스타일을 비교적 저렴한 상태에 놓여 있는 성장주를 찾아내는 기법 즉 성장형과 기업 가치형을 합체시킨 수법으로써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취해야 할 길은 먼저 자신이 좋아하는 투자 스타일, 혹은 잘하는 투자 스타일을 찾는 것입니다. 우선은 거기서부터 시작해서 그다음에 조금씩 옆으로 넓혀가도록 합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