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증권거래소의 탄생과 증권사

by _텐빌리_ 2023. 2. 18.
반응형

증권거래소는 왜 생겨났을까?

주식을 취득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출자하라는 회사에 돈을 내고 그에 상응하는 주식을 얻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이미 주식을 가진 사람에게서 사는 방법입니다. 우리는 주로 후자의 방법으로 주식은 취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식을 산 사람은 그때부터 그 회사의 주주 중 한 명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회사가 이익을 내면 배당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내가 산 주식의 회사가 망해버리거나 하면 곤란한 상황이 되고 또 산 주식을 선뜻 팔 수가 없다면 갑자기 주식을 돈으로 바꾸고 싶을 때 불편하게 됩니다. 그래서 회사의 성적표를 제대로 공개하고 있는 회사 주식을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곳이 있으면 안심을 할 수 있습니다. 반면 기업 입장에서는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이 자기 회사 주식을 사주는 것이 좋습니다. 주식을 사고 싶은 사람이 많을수록 새로 주식을 발행해 많은 돈을 모으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생겨난 것이 바로 증권거래소입니다. 증권거래소는 주식을 집중적으로 사고파는 전문 장소입니다. 그곳에서는 일정 자격을 갖춘 증권사를 통해 주식이 꾸준하게 매매되고 있습니다. 증권사의 역할은 우리를 대신해 주식 매매 주문 하는 것입니다. 주식 거래 하기 위해서는 법으로 엄격한 규칙이 있습니다. 우리가 직접 증권거래소에 가서 매매 협상할 수는 없으며 증권사가 정해진 룰에 따라 투자자와 증권거래소의 중개역이 되어 주식을 사고파는 것입니다. 그래서 증권사에 현대자동차 주식을 사고 싶다거나 삼성전자 주식을 팔고 싶다는 주문을 내면 전국 어디서나 부담 없이 주식을 사고팔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되는 주식은 성적표를 발표하고 있는 회사 주식입니다. 우리는 그 성적표를 통하여 기업의 경영상태가 좋은지 나쁜지 비교적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증권거래소 거래 방식

증권거래소에서는 매일 엄청나게 많은 주식이 매매되고 있습니다. 그 거래 중에 주식 가격도 결정되게 됩니다. 주식의 가격 결정 방식은 기본적으로 물건의 가격 결정 방식과 같습니다. 누군가 꼭 그 주식을 갖고 싶으니까 2000원 말고 3000원이라도 사겠다고 했을 때 또 다른 누군가가 아니 그럼 저는 5000원에 사겠다는 식으로 가격이 비싸도 사고 싶은 사람이 많으면 주가는 높아집니다. 반대로 1000이면 별로 사고 싶지 않지만 800원 정도면 사고 싶다고 싸지 않으면 사지 않겠다는 사람이 많으면 주가는 낮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증권사에서 증권거래소로 주문이 전달됩니다. 우리가 주식을 사고파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먼저 증권사에 주문을 내게 됩니다. 증권사는 전산망을 이용해 각 지점에서 모인 주문을 모두 증권거래소에 전달합니다. 증권거래소에는 매일 엄청난 양의 주문이 전국에서 몰려오는 것입니다거래소라고 하더라도 시장처럼 사람들이 주식을 가지고 모이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주문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증권거래소에서는 이 방대한 주문 중에서 현대자동차라든가 삼성전자라든가 하는 종목마다 팔고 싶다는 주문과 사고 싶다는 주문을 결합해 가게 됩니다. 이것 또한 컴퓨터상에서 행해집니다.

 

증권거래소에서는 두 가지 원칙에 따라 주문을 연결합니다. 각각의 주문은 사고 싶어 하는 가격 그리고 팔고 싶어 하는 가격 모두 제각각입니다. 그래서 증권거래소에서는 두 가지 원칙에 따라 주문을 대조해 나가게 됩니다. 사고 싶다는 주문에 대해서는 가장 비싼 가격의 것을 팔고 싶다는 주문에 대해서는 가장 싼 가격의 것을 먼저 연결합니다. 이를 가격 우선 원칙이라고 합니다. 만약 같은 가격의 주문이 여러 개 있다면 빨리 주문한 사람을 우선으로 연결하게 됩니다. 이를 시간 우선 원칙이라고 합니다.

증권사가 하는 일

우리가 주식을 팔거나 살 때 창구가 되는 게 바로 증권사입니다. 이 증권사의 일에는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증권사의 본업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람들의 주식 매매를 중개하는 일입니다. 이를 브로커 업무라고 합니다. 브로커 업무는 주식을 사고팔겠다는 사람들의 주문을 널리 받아 증권거래소에 전달하는 이른바 사람들을 대신해 거래를 성사하는 일입니다. 중개했을 때 사람들로부터 수수료를 받기 때문에 이 수수료는 증권사의 큰 수입원이 됩니다. 증권사들은 또 사고파는 것을 중개할 뿐만 아니라 증권사 자기 돈으로 주식을 팔거나 사는 일도 합니다. 이것을 딜러 업무라고 합니다. 주식 등을 매매함으로써 이익을 얻거나 또 증권사 자신이 거래에 참여함으로써 매매가 성립하기 쉽게 하고 있습니다. 주식은 회사가 돈을 모으기 위한 도구라고 앞선 글에서 말한 적이 있는데 회사가 주식을 발행해 돈을 모으는 것을 돕는 것도 증권사의 중요한 일 중의 하나입니다. 주식을 발행한 회사는 주식을 사줄 사람을 스스로 찾아도 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시간도 오래 걸리고 손도 많이 갑니다. 그래서 주식 전문가인 증권사에 주식을 사줄 사람을 찾아달라고 하게 되는 것입니다. 주식을 발행한 기업에서 주식을 사들여 널리 사람들에게 파는 일을 언더라이팅 업무라고 하며 새로 발행된 주식을 일시적으로 맡아 사줄 사람을 찾아 파는 일을 셀링 업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4가지 업무를 모두 다 하는 증권사를 바로 종합증권사라고 합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의 중요성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0) 2023.02.19
주가를 변동시키는 요인들  (0) 2023.02.18
기업의 상장에 대하여  (0) 2023.02.18
주식과 회사 그리고 주주의 역할  (0) 2023.02.18
주식이란 무엇일까?  (0) 2023.01.31

댓글